음향 효과 설정하기 – 사운드 스튜디오
사운드 스튜디오 앱을 이용하여 음악이나 영상에 풍성하고 입체적인 음향 효과를 더할 수 있습니다.
앱 서랍에서 사운드 스튜디오 선택 → ON으로 설정
※ ‘고음/중음/저음’, ‘서라운드 효과’ 등의 차량 자체 사운드 설정이 적용되어 있을 경우, 사운드 스튜디오의 음향 효과를 충분히 느끼기 어렵습니다.
차량 자체 음향 효과는 끄고 사용해 주세요.
※ '오토 튜닝' 기능은 Mstick4에만 지원되는 기능으로, 맞춤 음향 효과 자동 생성하기 – 오토 튜닝을 참고해 주세요.
사운드 스튜디오에서는, 기본으로 제공되는 음향 효과를 수정하거나 나만의 음향 효과를 새로 만들어 사용자들과 손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.
-
‘나만의 음향 효과’ 저장 방법
: 앱 하단-중앙 ‘고급’ 버튼 선택 → 음향 효과 설정 → 우측 상단 ‘저장’ 버튼 선택 → 표출되는 팝업에서 항목 이름 설정 → ‘저장’ 선택
※ 저장된 음향 효과는 ‘사용자 음향 효과’ 항목에 저장됩니다.
-
왼쪽/오른쪽 스피커의 이퀄라이저 설정 방법
: 사운드 스튜디오로 설정하는 음향 효과는 차량의 양쪽 스피커의 이퀄라이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
화면 우측 상단에 표시된 왼쪽/오른쪽 버튼을 선택하여 각각의 이퀄라이저를 설정할 수 있고, 버튼 좌측 Sync 체크박스로 양쪽을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.
※ Sync 체크 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방향(왼쪽 혹은 오른쪽)의 이퀄라이저로 동기화됩니다.
-
음향 효과 가져오기
: ‘사용자 음향 효과’ 항목에 위치한 ‘가져오기’ 선택 → 가져오려는 파일 선택
-
음향 효과 공유 방법
① 음향 효과 내보내기: 공유하려는 음향 효과 선택 → 음향 효과 이름 우측 ‘…(더보기)’ 선택 → 펼쳐진 메뉴 중 ‘내보내기’ 선택 > 표출되는 팝업에서 파일 이름 설정 → ‘내보내기’ 선택
② 저장된 음향 효과 파일 공유
※ 저장된 음향 효과 파일은 Mstick 외부 저장소(Mstick3)>SoundStudio에 .mgp 파일로 저장됩니다.
-
음향 효과 이름 변경 방법
: 이름을 변경하려는 음향 효과 선택 → 음향 효과 이름 우측 ‘…(더보기)’ 선택 → 펼쳐진 메뉴 중 ‘이름 변경’ 선택 → 표출되는 팝업에서 새로운 이름 설정
-
음향 효과 삭제 방법
: 삭제하려는 음향 효과 선택 → 음향 효과 이름 우측 ‘…(더보기)’ 선택 → 펼쳐진 메뉴 중 ‘삭제’ 선택
※ ‘사용자 음향 효과’ 항목에 저장된 음향 효과만 내보내기, 이름 변경, 삭제할 수 있습니다.
[고급 설정]
이퀄라이저 뿐만 아니라 컴프레서, 크로스오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
고급 설정은 화면 하단 중앙에 위치한 ‘고급’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
이퀄라이저
: 소리의 다양한 주파수를 각각 조정하는 기능입니다.
-
서브 베이스(16-60Hz): 서브베이스는 초저역대 사운드로 보통 귀로 듣는 다른 주파수와는 달리 몸으로 오는 진동으로 느끼는 주파수입니다.
이 대역의 이퀄라이제이션은 소리를 풍부하게 해주지만 명료도가 떨어져 지저분(Muddy)하게 될 수 있습니다.
-
베이스(60-250Hz): 음악에서는 킥드럼과 베이스 기타의 메인 주파수이며, 이 대역대의 적당한 증폭은 소리를 풍부하고 따뜻하게 만들어 줍니다.
하지만, 과도한 증폭은 소리를 방방거리고 탁 해질 수 있습니다.
-
미드-레인지(250-2kHz): 이 대역에는 많은 악기들이 소리가 존재하며, 전체적인 보컬, 총소리, 경적소리, 금속소리 등이 주를 이룹니다.
또한, 남성보컬도 이 대역의 적당한 조정은 명료도 따뜻함 등에 영향을 줍니다.
-
미드-하이(2k-4kHz): 명료하고 청량감을 주는 주파수 대역입니다. 과도한 증폭은 디스토션이나 피크 소리를 내게 됩니다.
-
하이-부스트(6k-10kHz): 보컬의 투명도를, 신디사이저 또는 현악기의 고음에 명료도를 더해 주는 주파수 대역입니다.
Crispness와 Sparkle한 음감이 여기에 들어가며, 주파수의 일부 쇳소리처럼 거슬리는 소리가 날 때에도 6와 8Khz를 조정하면 됩니다.
-
하이(10k-16kHz): 보컬을 풍성하게 해주고, 투명도를 높여 주는 주파수 대역입니다.
드럼의 하이헷이나 심벌 같은 악기에 깔끔하고 날카로움을 더해 줍니다. 하지만, 과도하게 증폭시킬 경우, 히스 같은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* 참고 음역대
• 여성 보컬: 150 - 1.6kHz
• 남성 보컬: 60 - 500Hz
• 색스폰: 100 - 700Hz
• 기타: 70 - 1.1kHz
• 심볼즈: 200 - 10kHz
• 킥드럼: 60 - 4kHz
2. 크로스오버
: 소리의 주파수 범위를 나누는 기능입니다.
3. 컴프레서
: 소리의 볼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.
▶ 크로스오버와 컴프레서 사용 방법
① 이퀄라이저의 모든 볼륨을 올린 후 마스터볼륨을 올려 디스토션을 발생시킨다.
② 컴프레서에서 디스토션이 없어질 때까지 Normalize 펙터와 Threshold를 조정한다. (원음의 볼륨을 최대한 적게 손상시키는 범위로 설정)
※ 고음과 저음의 주파수 선택은 크로스오버에서 조정합니다.
※ 기본 프리셋 사용을 권장합니다.